레이블이 전통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전통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1년 2월 7일 일요일

한국민속촌, 설날·정월대보름 맞이 ‘새해가 밝았소’ 진행

새해 첫날, 한 해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하는 행사
신축년 소띠 해 맞아 ‘소복소복 복순이네’ 특별 전시 
철저한 방역지침 준수 및 거리두기 전담직원 배치


최윤석 기자 kifuturenews@naver.com | 등록 2021.02.08 10:52:21

달집 태우기 모습.<사진=한국민속촌>

(경인미래신문=최윤석 기자) 한국민속촌이 민족 최대 명절 설날·정월대보름을 맞아 오는 11일부터 다음달 1일까지 특별 행사 ‘새해가 밝았소’를 진행한다. 

특히 민속촌은 새해를 시작하는 만큼 한 해의 복을 기원하는 다채로운 행사를 준하고 코로나19 전염방지 등 안전한 관람을 위해 거리 두기 전담 직원들을 배치, 다양한 볼거리를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도록 했다. 

신축년 특별 전시 ‘소복소복 복순이네’를 시작으로 2021년 대박을 기원하는 달집태우기와 지신밟기, 행운을 불러오는 그림 ‘세화’ 탁본 체험과 매성이 심기, 부럼 깨기 같은 무병장수를 기원하는 우리 고유의 민속 풍습을 쉽고 재밌게 즐길 수 있다.

소복소복 복순이네는 신축년 소띠 해를 기념해 한껏 치장한 민속촌의 소(복순이)와 기념 사진을 찍을 수 있고 건강하고 힘찬 민속촌의 복순이가 힘들었던 2020년 한 해를 이겨내고 새해를 시작하는 힘찬 기운을 선물한다.

용하다고 소문난 한국민속촌에서 재미로 신축년 한 해의 운세를 점쳐 보는 것도 추천한다. 

‘토정비결’ 체험은 사람이 태어난 해와 달, 날짜로 새해의 길흉화복을 알려준다. ‘윷점 보기’는 정초 윷을 던져 개인의 운수를 점칠 수 있어 관람객들에게 인기가 많다.

이 밖에도 액운을 막아주고 복을 불러온다는 ‘행운의 코뚜레 만들기’, 액운을 보내고 평안한 한 해를 기원하기 위해 달집에 제웅을 태우는 ‘액막이 제웅’ 등 여러 설날 체험 행사와 ‘용알뜨기’, ‘야광이 쫓기’ 등 전통 풍습을 재현한 놀이로 특별 공간에서 잊혀가는 우리 전통을 알아갈 수 있다.

2021년 한 해 대박을 기원한다면 정문 입구에 있는 초대형 복주머니 포토존에서 사랑하는 사람과 ‘인증샷’을 남길 수도 있다. 

이뿐만 아니라 새해 첫날의 특별함을 담을 수 있는 포토존 ‘연과 함께’에서 연과 얼레를 풍경으로 가슴이 뻥 뚫리는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설 연휴에 이어 정월대보름 기간에도 장승제, 볏가릿대 세우기 등 한국민속촌에서만 볼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세시풍속 행사를 선보일 예정이다.

기타 더 자세한 사항은 한국민속촌 홈페이지에서 확인하면 된다.

2020년 7월 12일 일요일

수원문화재단, 전통식생활체험관 온라인 교육 실시

전통식생활체험관, ‘다양한 전통을 시식하다’ 콘텐츠 제작


최윤석 기자 kifuturenews@naver.com | 등록 2020.07.13 06:50:00

수원문화재단 전통식생활체험관 전경.<사진=수원문화재단>
(경인미래신문=최윤석 기자) 수원문화재단(대표이사 박래헌) 수원전통문화관은 오는 9월까지 매주 금요일에 한 편씩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인 ‘다양한 전통을 시식하다’를 진행한다.

‘다양한 전통을 시식하다' <다.시.다>는 코로나19로 인한 생활 속 거리두기로 수원전통문화관의 오프라인 수업을 진행하기 어려운 시기에 제작한 비대면 교육 프로그램이다.

각기 다른 세 가지 주제의 식생활체험관 요리교육 동영상 총 12편을 수원전통문화관의 공식 유튜브 채널에 게시해 모든 시민에게 무료로 제공한다.

먼저 오는 24일까지 실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퓨전한식' 4편을 공개한다.

몽골리안 스테이크와 갈릭소이소스, 별미깻잎밀쌈, 샤브샤브 돈육무침, 차돌박이 메밀국수 등 누구나 손쉽게 따라 할 수 음식으로 먹거리를 고민하는 초보 또한 쉽게 도전할 수 있다.

내달 21일까지 게시 할 ‘전통병과’ 4편은 팥, 현미, 잣, 쌀가루, 호박 등 인터넷과 마트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만을 활용해 떡과 한과를 만드는 프로그램이다.

팥시루떡, 현미 엿 강정, 쇠머리떡, 잣박산(백자병) 등 직접 만들기에는 다소 부담스러웠던 전통병과를 직접 만들어 볼 수 있다.

마지막 ‘전통한식’ 편에는 고종황제께서 즐겨 드신 ‘궁중냉면’, 고추장을 사용하지 않는 ‘궁중떡볶이’, 불고기를 활용한 ‘설야멱적’, 아삭아삭하고 시원한 ‘섞박지’를 담았다.

외식으로 즐기지만 집에서는 도전해보지 못했던 전통 메뉴로 그 유래와 식재료를 이해하며 직접 만들고 응용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한편 유튜브 채널 ‘수원전통문화관’에서는 <다.시.다> 이외에도 수원전통문화관 내 각종 유용한 행사정보와 이목을 집중시킬 수 있는 양질의 콘텐츠를 꾸준히 게시하고 있다.

기타 자세한 사항은 전통교육팀(031-247-5614)에 문의하면 된다.

http://www.kifuture.com/news/article.html?no=72515

시흥시, 목감·샛말공원·능곡중앙공원 등 폭염저감시설 설치… 온열질환 예방 나서

기온 25도 이상 자동 작동… 노약자·어린이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 기대 민경호 기자 kifuturenews@naver.com | 등록 2025.07.04 15:23:43 ▲ 시흥시 하중동 샛말공원에 설치된 폭염저감시설이 물안개를 내뿜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