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이블이 역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레이블이 역사인 게시물을 표시합니다. 모든 게시물 표시

2024년 1월 17일 수요일

베트남, '프랑스·일본·미국' 등 외세의 침략에 맞서 지켜낸 영토

5군구 전쟁기념관, '베트남 전쟁' 역사 전시
베트남, GDP, '13년 2137억$ '22년 4088억$


민경호 기자 kifuturenews@naver.com등록 2024.01.18 15:35:59


▲ 5군구 전쟁기념관 전경. <사진=민경호 기자>

(경인미래신문=민경호 기자) 베트남 국내총생산(GDP)이 지난 2013년 2137억달러에서 2022년 4088억달러로 2배 가까이 고도 성장을 달리고 있는 가운데 전세계인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베트남 사람들은 수십 년간 '프랑스·일본·미국'과 전쟁의 아픈 역사가 있지만 이 모든 외세의 침략을 막아내고 통일한 나라다. 


기사원문 보기

http://www.kifuture.com/news/article.html?no=124736


2022년 7월 1일 금요일

화성시문화재단, 독립의 발자취 '화성3·1운동만세길' 환경 개선

무궁화 바람개비 조성 및 독립운동가 명언 새겨 


민경호 기자 kifuturenews@naver.com | 등록 2022.07.01 17:26:23

(경인미래신문=민경호 기자) (재)화성시문화재단(대표이사 김종대)은 화성3·1운동만세길을 6월 호국보훈의 달을 맞이해 '무궁화 바람개비' 설치, '독립운동가 명언 페인팅' 등 관람객의 편의 향상과 독립 운동 가치 전달을 위한 환경 개선을 진행했다고 1일 밝혔다.

▲ 화성3ㆍ1운동만세길에 새긴 독립운동가 김용창 애국지사 명언. <사진=화성시문화재단>

화성3·1운동만세길은 우정·장안 지역 독립운동가들이 일제 식민 지배에 저항하기 위해 만세를 외치며 걸었던 길로서 2019년 연구와 고증을 통해 조성됐다. 

실제 독립운동가들이 걸었던 길의 60% 이상 복원되었으며 독립운동가 집터·생가·횃불 시위터 등 주요 유허지 15곳이 있다. 

새롭게 정비된 화성3·1운동만세길에는 우정·장안지역 만세운동을 주도하고 사람들의 참여를 독려했던 독립운동가 백낙열(百樂烈), 차희식(車喜植) 등의 명언이 새겨졌다. 

또한 무궁화 바람개비와 태극 바람개비를 설치해 당시 우리나라의 자주 독립을 염원하는 우리민족의 바람을 표현했다. 

화성3·1운동만세길 담당자는 "이번 환경개선을 통해 이전보다 화성3·1운동만세길의 직관적인 동선 안내가 가능해졌다"며 "독립운동가들의 굳은 의지가 담긴 말들을 따라 걸으며 화성 독립운동 역사에 대한 긍지와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고 전했다.

화성3·1운동만세길은 관람객의 지속적인 흥미 유발과 독립운동 가치 전달, 지역 사회 경제·문화 자립성 강화를 위해 특색에 맞는 환경 개선을 지속할 계획이다.

2020년 9월 7일 월요일

수원시립미술관, '내 나니 여자라,' 개관 5주년 기념전 개최

최윤석 기자 kifuturenews@naver.com | 등록 2020.09.08 15:34:42

임민욱 작가의 '봉긋한 시간'.<사진=수원시립미술관> 

(경인미래신문=최윤석 기자) 수원시립미술관은 개관 5주년을 기념해 '내 나니 여자라,'를 9월 8일부터 11월 29일까지 수원시립아이파크미술관에서 개최한다.

8일 수원시립미술관에 따르면 2015년 10월 8일 개관한 이래 수원의 역사와 문화의 가치를 알리고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서양화가인 정월 나혜석에 대한 심층적인 연구와 더불어 여성주의 작가와 작품에 대한 연구 및 수집 기능을 강화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내 나니 여자라,'는 조선 22대 임금인 정조의 어머니이자 사도세자의 비(妃)였던 혜경궁 홍씨(惠慶宮 洪氏, 1735-1815)의 자전적 회고록인 '한중록'을 매개로, 올해 미술관의 기관의제인 '여성’에 대한 동시대적이고 다양한 정서를 들여다 본다. 

전시 제목 '내 나니 여자라,'는 '한중록'에서 발췌한 구절로 혜경궁 홍씨가 나기 전 태몽이 흑룡(黑龍)이라 당연히 사내아이일 줄 알았다고 한다. 

그 기대에 반했기 때문에 ‘태어나 보니 여자더라’하는 회한 섞인 대목은 여성들이 처한 불합리와 불평등을 상징한다. 

여기에 문장부호 반점(,)은 고정된 여성성에 대한 전복을 통해 여성의 무한한 가능성과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려는 의미를 함축한다. 

전시는 1부 '내 나니 여자라,', 2부 '피를 울어 이리 기록하나', 3부 '나 아니면 또 누가,' 등 총 3개의 섹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미술관 관계자는 "13인(팀) 작가가 선보이는 회화, 설치, 미디어 등 총 48점의 작품은 숨겨지고, 흩어진 여성들의 이야기를 듣고, 여성이라는 존재와 정체성 그리고 가능성에 대해 생각해 볼 것"을 제안했다. 

http://www.kifuture.com/news/article.html?no=73582

시흥시, 목감·샛말공원·능곡중앙공원 등 폭염저감시설 설치… 온열질환 예방 나서

기온 25도 이상 자동 작동… 노약자·어린이 등 폭염 취약계층 보호 기대 민경호 기자 kifuturenews@naver.com | 등록 2025.07.04 15:23:43 ▲ 시흥시 하중동 샛말공원에 설치된 폭염저감시설이 물안개를 내뿜고 있다. ...